티스토리 뷰

 

2024년에는 군 적금(매칭지원금 , 장병내일준비적금)의 지급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매칭지원금 과 이자가 통합되어 납입금액의 100%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, 2025년에는 550,000원의 매칭지원금 이 제공될 예정입니다. 이에 대한 계산 방법과 정책에 따른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적금 계산기로 이자 계산하러 가기

 

군 적금 계산기

구분

금액

입대일

입대년도(2022년, 2023년, 2024년, 2025년) 입대월(1월부터 12월까지)

복무개월

복무개월(군별에 따라 달라짐: 18개월(육군ㆍ해병대), 20개월(해군), 21개월(공군))

월 납입액

원(단위: 원)

납입원금

원(단위: 원)

매칭지원금

원(단위: 원)

이자

원(단위: 원)

이자소득세(15.4%)

원(단위: 원)

실 수령액(납입원금+매칭지원금+이자-이자소득세)

원(단위: 원)

 

계산방식

매칭지원금 은 납입 원금 대비 특정 비율로 지급되며, 2022년부터 2025년까지의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.

구분

2022년

2023년

2024년

2025년 이후

매칭지원금(납입 원금 대비, %)

33%

71%

100%

137.5%

 

은행 이자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의 평균 이자인 5%를 적용하며, 이자소득세는 15.4%로 적용됩니다.

 

주의사항

2022년과 2023년은 이자지원금과 매칭지원금 이 분할되어 지급되었지만, 2024년부터는 이자지원금이 통합되어 매칭지원금 으로 지급됩니다. 따라서, 정책 변경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적금 계산기로 이자 계산하러 가기

 

군적금 매칭지원금에 대한 이해

정부가 군적금인 장병내일준비적금에 3:1 매칭지원금 을 제공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. 이는 사회복귀준비금으로 불리며, 군적금의 가입 혜택과 정부 지원 금액, 가입 자격, 가입 제한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.

 

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혜택

  1. 평균적으로 6%의 이자를 받습니다. (은행 이자 약 5%~6% + 국가 지원 이자 1%)
  2. 이자 소득은 비과세입니다.
  3. 정부는 원리금의 33%에 해당하는 매칭 지원금을 제공합니다.

 

장병내일준비적금 정부 지원 금액

군적금 가입 후 만기에는 부은 원리금의 33%에 대해 정부에서 지원금을 지급합니다.

 

군적금 가입자격

군적금은 대한민국 병역의무 이행자에게 제공됩니다. 신규 가입은 복무 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아 있어야 가능합니다.

 

장병내일준비 적금 가입 제한자

  • 3년 동안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(이자 소득이 2천만원 이상)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.
  • 기초 생활 수급자라면 가입 시 수급자 자격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관할 읍면동 사무소로 문의하십시오.

 

군적금 가입 방법

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은행별 적금 금리 비교는 가입 방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군적금 부을 때 유의사항

전역 달에는 군적금이 급여에서 공제되지 않으므로, 전역 전까지 본인이 직접 적금 계좌에 납입해야 합니다.

 

군적금 3:1 매칭지원금은 언제 받나요? (+만기 해지 방법)

만기 후에는 병역증이나 병적증명서를 발급하여 은행에 제출하면 정부 매칭지원금 이 입금됩니다. 이 과정은 최대 3개월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.

군적금은 최대 40만원까지 부를 수 있으며,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좋은 여정입니다. 저축 습관을 기르고, 33%의 매칭지원금 을 받으려면 장병내일준비 적금을 활용해보세요.

장병내일준비적금 원리금

3:1 정부 매칭 지원금(사회복귀준비금)

복무기간 18개월, 매월 20만원을 부었을 때

원리금 + 3:1 매칭 지원금 합계 = 501.5만원

복무기간 18개월, 매월 40만원을 부었을 때

만기시 원리금: 총 754.2만원

- 원금 720만원

- 이자: 은행이자 5% 28.5만원 + 국가이자지원 1% 5.7만원

3:1 매칭 지원금: 754.2만원의 33% = 248.8만원

원리금 + 3:1 매칭 지원금 합계 = 1,003만원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