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문주란 노래 모음 히트곡 노래듣기
@개구리@ 2024. 5. 13. 10:41
오늘은 문주란 노래 모음 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!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활약한 문주란은 부산에서 태어나 꾸준한 활동으로 트로트 가수로 이름을 날렸죠. 그의 음악은 많은 이들의 마음을 감동시켰습니다. 지금부터는 유튜브에서의 감상도 가능한 히트곡 목록과 노래 가사, 앨범 커버 등 문주란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도록 할게요.
주요 수상
- 1972년 TBC 가요상 신인상
- MBC 10대 가수상 4회 수상
- 일본 동경음악제 최우수가창상 등
문주란 히트곡 노래모음 듣기
유튜브에서 감상하기
히트곡 목록
순번 |
노래 제목 |
1 |
동숙의 노래 |
2 |
돌지않는 풍차 |
3 |
타인들 |
4 |
낙조 |
5 |
파란 이별의 글씨 |
6 |
별이 빛나는 밤의 블루스 |
7 |
내 몫까지 살아줘 |
8 |
그사람 |
9 |
이별이 주고간 슬픔 |
10 |
보슬비 오는 거리 |
11 |
만나면 괴로워 |
12 |
너와 나 |
13 |
아랫마을 이쁜이 |
14 |
파란 낙엽 |
15 |
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|
16 |
목화아가씨 |
17 |
낮과 밤 |
18 |
생각하지 말아요 |
19 |
젊은 초원 |
20 |
그대여 변치마오 |
문주란 노래가사
- 노래가사는 멜론, 지니, 벅스, 바이브 등의 음원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히트곡 목록 및 앨범 커버
- 힛트송 제1집 《동숙의 노래/낙엽지는 밤》(1966년)
- 골든힛트앨범 《낙엽따라 가버린 사랑/리베마이》(1971년)
- 《당신이 있으니까/젊은 초원》(1973년)
- 《까치가 울면/못 잊어》(1974년)
- 《내 손 잡아주/내 사랑은》(1975년) 등
세계를 감동시킨 트로트 가수, 문주란
성공과 어려움 속에서
- 문주란은 음악계에 뛰어들어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지만, 삶의 고난도 함께했습니다.
다시 일어난 전성기
- 다시 컴백한 문주란은 트로트계의 여왕으로 다시 한 번 빛을 발했습니다.
이처럼 문주란의 음악은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들의 마음을 감동시켰습니다. 오늘도 그의 음악을 들으며 그의 전성기를 기억해봅시다.
항목 |
내용 |
본명 |
문필연 |
생년월일 |
1949년 9월 30일 |
고향 |
부산광역시 부산진구 |
수상 내역 |
- 1972년 TBC 가요상 신인상 |
- 1967년, 1968년, 1972년, 1973년 MBC 10대 가수상 |
|
- 1982년 일본 동경음악제 최우수가창상 |
|
히트곡 목록 |
- 동숙의 노래 |
- 돌지않는 풍차 |
|
- 타인들 |
|
- 낙조 |
|
- 파란 이별의 글씨 |
|
- 별이 빛나는 밤의 블루스 |
|
- 내 몫까지 살아줘 |
|
- 그사람 |
|
- 이별이 주고간 슬픔 |
|
- 보슬비 오는 거리 |
|
- 만나면 괴로워 |
|
- 너와 나 |
|
- 아랫마을 이쁜이 |
|
- 파란 낙엽 |
|
- 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|
|
- 목화아가씨 |
|
- 낮과 밤 |
|
- 생각하지 말아요 |
|
- 젊은 초원 |
|
- 그대여 변치마오 |
|
앨범 목록 및 커버 |
- 힛트송 제1집 《동숙의 노래/낙엽지는 밤》(1966년) |
- 골든힛트앨범 《낙엽따라 가버린 사랑/리베마이》(1971년) |
|
- 《당신이 있으니까/젊은 초원》(1973년) |
|
- 《까치가 울면/못 잊어》(1974년) |
|
- 《내 손 잡아주/내 사랑은》(1975년) |
|
- 《문주란 리사이틀 제 1탄》(1976년) |
|
- 《생각하지 말아요/낯과 밤》(1975년) |
|
- 《골든힛트앨범 (공항대합실/공항의 이별)》(1976년) |
|
- 《가시려나/그때 그 자리》(1978년) |
|
- 《아마다 미야/남의 속도 모르고》(1989년) |
|
- 《내 가슴속의 타인/주홍글씨》(1990년) |
|
- 《술아술아/칠갑산》(1990년) |
|
- 《97 春 내 가슴 벌집됐네》(1997년) |
|
- 《시절인연 (Single)》(2011년) |
문주란의 음악은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들의 마음을 감동시켰습니다. 당신도 그의 음악을 들으며 그의 전성기를 기억해보세요. 문주란의 음악은 많은 사랑을 받으며 오늘까지도 소중하게 기억되고 있습니다.